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이야기/Linux sToRy26

centos extra for ppc64le 대부분 x86_64 를 위주로 쓰다보니, repository에 대한 걱정이 없다. (extra 등등) IBM ppc64le architecture의 경우에는 repository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 정리해놓는다. package 가 build만 되고 배포가 안 된 rpm도 존재하는것 같으나, ppc64le 사용자의 경우도 이마저도 유용한 경우가 있다. CentOS 7 CentOS Mirror CentOS Mirror mirror.centos.org Index of /c7-extras.ppc64le (centos.org) Index of /c7-extras.ppc64le buildlogs.centos.org CentOS 8 링크 삽입 예정 2022. 10. 12.
Linux(리눅스) security(보안) update(업데이트) 명령어 보통 # yum update 를 통해서 전체 업데이트를 진행하곤 함. 하지만 현재 서비스 중인 서버의 경우에는 무단으로 package를 업데이트할 경우, 예상치도 못한 서비스 장애를 일으킬수 있어 함부로 사용하기 힘든 명령어임. 이런경우 보안 업데이트, 버그 픽스만 하고 싶을때가 있는데 다음의 명령어를 쓰면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 # yum update --security --bugfix 2022. 10. 12.
리눅스 랜카드(network cards, NIC) 확인 방법 첫번째 명령어 : 본인이 가지고 있는 랜카드에 따라서 명령어를 선택하면 됨. 귀찮으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됨. # lspci | egrep -i --color 'network|ethernet' # lspci | egrep -i --color 'network|ethernet|wireless|wi-fi' 두번째 명령어 : 네트워크 카드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으면 이 명령어가 적합함. # lshw -class network # lshw -class network -short 너무 길게 나오는것 같고 간단하게 보고 싶으면, -short 을 넣어주면 됨. 세번째 명령어 : 만약에 네트워크 카드가 지원하는 속도가 궁금하다면, 이 명령어를 사용하는것이 더 적합함. # ethtool -i eth0 .. 2021. 11. 13.
우분투(ubuntu) 배포판, 버전 확인 방법(도커 포함) 딥러닝 개발 하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현재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우분투 배포판을 확인하고 싶을때가 있음. 다음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함. $ lsb_release -a No LSB modules are available.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18.04.6 LTS Release: 18.04 Codename: bionic 혹시나 docker container 에서 사용되고 있는 ubuntu version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위 명령어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와서 version 확인이 불가능 함. 대신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cat /etc/lsb-release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1.. 2021. 9. 18.
리눅스 cpu spec 확인 명령어 부팅할때 cpu 정보 보면 되지만, 서버의 경우에는 재부팅이 쉽지 않다보니 명령어로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종종 있음. 방법 1. CPU 상세정보1 $ sudo lshw | grep -i cpu 위 방법은 CPU 정보를 상세히 알려준다. 너무 정보가 많아서 다음 명령어를 쓰는게 간결할 수 있음. 방법 2. CPU 모델 명 확인 $ cat /proc/cpuinfo | grep 'name'| uniq 위 방법은 모델명(예: Intel Core i7-67xx 와 같이)을 알려 줌. 방법 3. CPU core 갯수 확인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 wc -l htop 과 같은 방법으로도 core 갯수를 볼 수 있으나, 위 방법으로도 core 갯수 확인 가능 함. 방법 4. CP.. 2021. 9. 18.
리눅스 hdd, storage spce 확인 명령어 하드 용량 확인은 리눅스에서 $ df -h 정도면 충분히 파티션 별로 확인해 볼 수 있음. 추가로 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fdsik 등 명령어를 사용해서 볼 수 있음. 서버 테스트나 셋팅하다보면 raid card에 붙어 있는 hdd, storage 에 대한 정보 확인이 필요할때가 있으며, 위 명령어로를 확인이 쉽지 않음. 다음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sudo hdparm -I /dev/sda /dev/sda 에 매핑되어 있다고 가정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며, 위 명령어를 통해 구성된 storage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최근에는 가상화 되어서 사용된 경우가 많아, 위 명령어로도 확인이 쉽지 않은 경우가 있음 2021. 9. 18.
반응형